선풍기 풍속 풍량 조절 원리

반응형

각 버튼을 눌렀을 때 버튼이 무슨 변화를 줘서 풍량이 조절되는지 모터, 전기적 관점에서 원리가 궁금합니다.

선풍기 풍속 풍량 조절 원리

선풍기 풍속 풍량 조절 원리

AC 유도 모터의 회전수는 전원 주파수와 모터의 극수에 의해 결정됩니다.

모터의 극수는 모터를 만들 때 이미 결정된 것이므로 바꿀 수 없고, 결국 대부분의 산업용 모터는 인버터라는 장치를 통해 주파수를 바꾸어 속도제어를 합니다.

그런데 선풍기에는 그런 거창한 장치나 회로가 들어가지 않습니다. 그런데도 속도조절이 된다는 것이 좀 이상하죠. 원리는 모터의 속도를 조절하는 것이 아니라 모터에 감긴 코일량을 바꾸어 토크(회전력)를 변화시키는 것입니다.

선풍기를 분해해서 날개를 제거하고 약, 중, 강으로 돌리면 회전속도는 똑같습니다. 그런데 날개를 붙이게 되면 약일 때는 토크가 약해서 슬립현상이 발생합니다. 슬립현상이란 AC유도 모터가 정상 동작으로 돌지 못하는 것을 말합니다. 쉽게 말해 바퀴가 헛도는 것과 비슷한 것입니다.

즉 선풍기는 어찌 보면 정상이 아닌 편법으로 속도조절을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요즘 나오는 DC 선풍기는 전혀 다릅니다.

반응형
그리드형
더 알아보기 👆
일상 생활에서 유용한 정보와 꿀팁, 자기계발 등의 주제를 다루며, 고용노동 관련 정보와 취업 팁, 직장 생활에 대한 조언도 제공합니다. 다양한 분야에서 유익한 내용을 제공하고자 노력합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를 눌러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