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스모선수들의 계급이 어떻게 되는지 알고 싶어요. 스모가 무슨 뜻인지 그런 건 필요 없고 스모선수들 계급과 계급을 어떻게 나누는지, 계급마다의 특징 등 스모선수의 계급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려주세요.

스모선수의 계급은 어떻게 구분하나요?
스모의 등급은 총 10개이며, 죠누구치, 죠니단, 산단메, 마쿠시타, 쥬우료, 마에가시라, 고무스비, 세키와케, 오제키, 요코즈나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요코즈나 橫網: 가장 높은 계급이며 보통 신과도 같은 존재로 여기며 성적이 좋지 않으면 은퇴의 압력을 받는다.
- 오제키 大關: 요코즈나 다음의 계급으로 동, 서에 각각 1명 이상의 오제키가 있다.
- 세이키와케 關脇: 오제키 옆의 위치에 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
- 고무스비 小結び: 동, 서에 각각 1명 이상 있으며 서열상으로 4번째 위치.
- 마에가시라 前頭: 하급스모의 우두머리로 동, 서에 각각 16명 이상씩 위치.
- 쥬우료 十兩: 명치시대에 쥬우료 이상의 계급 중에서 상위 10번째까지 쥬우료의 급료를 수령한 데에서 유래된 계급. 팬들에게 손도장(사인같은 것)을 찍어줄 수 있다.
- 마쿠노시타 幕下: 동, 서에 각각 60명 이상의 선수들로 구성되어 있다. 무늬가 들어간 허리띠나 기모노 위에 코트를 입는 것 가능.
- 산단메 三段目: 동, 서에 각각 100명 이상의 선수로 구성되어 있으며 스모 대진표상에 세 번째에 위치한다 해서 유래. '셋다(밑바닥에 가죽을 대고 뒤꿈치에 쇠붙이를 박은 신)' 가능.
- 죠니단 序二段: 리키시의 수정 정해지지 않으며 스모 대진표상 2번째에 있다 하여 유래.
- 죠노구찌 序の口: 스모를 막 시작했다는 의미로 스모의 가장 하급 계급.
요코즈나가 최상위 등급이며 동서 2명만 존재할 수 있습니다. 요코즈나인 선수가 은퇴할 경우 공석인 상태에서 경기를 하기도 합니다. 또한, 스모 선수의 등급을 나타내는 표인 반즈케는 오오스모가 끝난 후 발표되며, 그로 인해 선수들이 일종의 등급 조정을 받게 됩니다. 승률이 50% 이상이면 가치코시라는 표현을 사용하며, 가치코시를 달성하면 등급이 상향 조정됩니다.
요코즈나의 경우 2개 대회 연속 우승 또는 그에 준하는 성적을 거둬야 하고, 오제키의 경우 3개 대회 합계 33승 이상을 거둬야 승급이 가능합니다. 마에가시라까지를 마쿠우치라고 부르며, 쥬우료부터는 일정한 급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스모 선수들이 가장 기뻐하는 순간은 쥬우료로 승급했을 때입니다.
반응형
그리드형
댓글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