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침냄새가 납니다. 그런데 다른 사람들이 입에서 전혀 냄새가 안 난다고 합니다. 왜일까요? 그리고 봉지에 입김 불어넣고 나오는 냄새가 확실히 입냄새인지요? 전혀 안나던데.. 왜 침냄새는 날까요?

침냄새 VS 입냄새 침냄새와 입냄새는 전혀 다르다?
침냄새로 착각하는 것은 혀에 묻은 음식물이 분해되면서 생긴 냄새입니다. 작은 실험을 한 번 해보세요. 손등을 혀로 핥고 나서 냄새를 맡으면 약간 시큼한 냄새가 납니다. 하지만 침샘이 있는 혀 밑쪽에서 바로 나온 침을 손등에 묻혀 냄새를 맡으면 별 냄새가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지요. 좀 지저분한 실험이지만 침에 냄새가 없다는 것을 확인하는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모두가 알다시피 입속의 입냄새는 입속에 음식물의 찌꺼기가 남아 분해되는 과정에서 발생합니다. 많은 음식물 중에서도 단백질이 분해되면서 생기는 냄새가 아주 고약한 썩은 냄새를 내고, 몇몇 강한 향을 가진 채소(파, 마늘, 양파 등)에서는 그 음식물이 가진 독특한 냄새를 내지요. 또한 잇몸질환이 있거나 장이 나쁜 사람은 강한 썩은 입냄새가 나기도 한답니다. 그리고 술담배를 같이 하는 사람이 내는 입냄새는 정말 독특하고 역겹지요.
혀는 작은 돌기가 아주 많이 있어 그 사이사이에 미세한 음식물의 찌꺼기가 많이 낄 수 있고 또한 이빨 사이사이엔 크고 작은 음식물 찌꺼기가 쌓여 양치질을 제대로 하지 않으면 침의 분해효소와 각종세균, 입속의 따뜻한 온도 덕분에 쉽게 분해되어 썩어갑니다. 따라서 양치를 할 때는 반드시 이빨 구석구석을 세로방향으로 잘 닦고 혓바닥과 잇몸, 입천정도 세심하게 잘 닦아 주어야 한답니다.
하지만 양치를 아무리 세심하게 한다 해도 입속의 모든 음식물 찌꺼기를 모두 닦는 것은 실제 어렵습니다. 적은 양의 음식물 찌꺼기가 남아 계속 분해되는 과정이 길어지면 결국 또다시 입냄새가 나지요. 그래서 치아건강을 떠나 적어도 하루에 3-4번 양치질을 해야 대화하는 상대방에게 에티켓을 지킬 수 있겠죠.
댓글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