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콘센트에 물이 들어갔어요

반응형

방마다 2개씩 꼽게 되어있는 일반적인 콘센트 있잖아요. 그게 뒷베란다 벽에 있는데요 아파트인데 1층 ~ 5층까지 연결된 세탁물 내려가는 배관이 빠져서 어쩌다 위치가 배관 빠진 데가 위에고 콘센트가 그 바로 아래 벽에 붙어 있어서 배관이 빠져서 물이 완전 폭포처럼 흐르고 있었어요. 콘센트를 보니까 연기가 펄펄 나고 있었어요. 그리고 배관은 수리해야 하긴 하는데 일단 급하니까 배관이 어긋난 걸 맞췄고 물이 콘센트에 안 들어가니까 1분 정도 뒤에 연기는 멈췄어요.

콘센트에 물이 많이 들어갔아요 한 5일 됐는데 전기통할 까봐 무서워서 손도 못 대고 있어요. 일단 꼽혀있던 선은 냉장고 선인데 냉장고는 잘 작동하고요, 물이 들어간 콘센트를 봐야 할 텐데 아직도 전기가 흐르고 있을지 걱정됩니다. 콘센트 안에 물이 많이 들어간 거 같은데... ㅠㅠ 전기가 물을 증발되게 했을지 아니면 안에는 물이 고여있어 전기가 흐르고 있어서 만지면 감전되어 죽는 건 아닌지ㅠㅠ. 일단 집에 모든 전기에 이상이 없긴 한데 그 많은 양의 물이 들어가고 연기도 난걸 계속 방치할 순 없다고 생각해서요 어떻게 해야 하나요? 단기 내리고 콘센트 분리해서 말려야 한다던지 좋은 해결법을 알려주세요.

전기콘센트에 물이 들어갔을 때 연기남

전기콘센트에 물이 들어갔어요

콘센트 내부의 물은 모두 증발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지구에는 중력이 작용하고 있고, 물은 유체이므로 위에서부터 물이 공급되는 것이 차단되었다면 아마도 당일날 콘센트 내부에 있는 거의 모든 물이 아래쪽으로 이동하였을 것으로 판단되며 내부 구석에 일부의 물이 남아 있었겠지만 이마저도 시간이 경과하여 모두 증발했다고 보는 것이 맞습니다.

하지만, 조심해서 나쁠 것은 없습니다. 먼저, 벽이 젖어 있는지, 콘센트의 외부 또는 콘센트 바닥이나 바로 아래에 물기가 있는지 육안으로 살펴보는 것이 좋습니다. 만일 콘센트 주위에 물기가 있다면, 콘센트 내부에도 물기가 있다고 판단해야 합니다. 바닥과 벽, 콘센트 주변에 물기가 없다면 일단 안심해도 됩니다. 만약의 경우를 모르므로 차단기를 내리고 물기가 남아 있는지 꼼꼼하게 확인해야 합니다.

우선, 옥내 전기 안전시설에 문제가 있습니다. 콘센트가 침수되어 연기(수증기입니다.)가 발생할 정도인데도 누전차단기가 작동하지 않았다면 무언가 이상이 있습니다. 콘센트가 물에 흠뻑 젖고, 벽에도 물기가 있는 상태이며 전기가 공급되는 상태라면 누전이 발생하지 않을 수 없는 상태입니다.

이런 경우 누전차단기가 작동해야 정상입니다. 아마 콘센트에 접지선이 없었거나, 누전차단기가 불량이 아닌가 의심이 됩니다. 우선, 메인 차단기를 내리고, 콘센트를 분해하고 점검해야 합니다. 전기 배선도 육안으로 확인해서 젖어 있지는 않은지 살펴보는 것이 좋습니다. 콘센트와 전기배선이 마른 상태라면 일단 사용은 가능합니다.

220V는 100V전기와 달리 감전되면, 최약의 경우 인체에 치명적인 상해를 줄 수도 있으므로 반드시 접지선을 설치해야 합니다. 즉, 전기 콘센트는 2가닥선 전선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3가닥선 전선을 사용해야 합니다. 2가닥은 전력선으로 사용하고, 1가닥은 만약을 대비한 접지선으로 사용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아파트의 경우라면, 옥내배전반에 접지공사가 되어 있습니다. 전기기술자에게 부탁하여, 접지선이 제대로 연결되어 있는지, 누전차단기가 제대로 작동하는지 등을 점검해야 합니다.

반응형
그리드형
더 알아보기 👆
일상 생활에서 유용한 정보와 꿀팁, 자기계발 등의 주제를 다루며, 고용노동 관련 정보와 취업 팁, 직장 생활에 대한 조언도 제공합니다. 다양한 분야에서 유익한 내용을 제공하고자 노력합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를 눌러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