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3학년인 학생입니다. 올해부터 취업을 나가는 것이 힘들어져 많이 고민인데, 제가 부모님 일을 배우면서 가업승계로 나갈 계획이었는데 그게 불가능하다는 사실에 결석이라도 하면서 일을 배워나갈 생각입니다. 고등학교 출석일수가 어느 정도 되나요? 결석을 몇 번 하면 졸업이 안 되나요? 지금까지 아파서 결석한 것도 무단결석할 때 그 일수에 포함되나요?
![고등학교 출석일수(출결일수)](https://blog.kakaocdn.net/dn/IXyYh/btsH4XeRRUR/hGlA0vGAtM9f6zDyhMW1f1/img.webp)
고등학교 출석일수와 졸업 조건: 알아두어야 할 사항
안녕하세요, 여러분!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이 올해부터 취업을 준비하면서 겪는 고민을 들어보았습니다. 특히 가업을 승계하려는 계획이 있었지만, 상황이 여의치 않아 결석을 하면서라도 일을 배우고자 하는 마음이 드는 것 같습니다. 이런 고민을 하는 학생들과 부모님들을 위해 고등학교 출석일수와 졸업 조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고등학교 출석일수
고등학교의 수업일수는 법적으로 190일 이상이어야 합니다. 학교에 따라 조금씩 다르지만, 보통 190~192일 정도 됩니다. 이는 학생들이 학습과정을 충분히 이수하도록 하기 위한 최소한의 기준입니다.
졸업이 불가능한 경우
고등학교를 졸업하기 위해서는 출석일수를 채워야 합니다. 만약 수업일수의 1/3 이상 결석하게 되면 졸업이 어려워집니다. 즉, 63일 이상 결석하게 되면 졸업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결석의 종류와 포함 여부
결석에는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 질병 결석, 무단결석, 기타 결석 모두 진급과 졸업에 영향을 줍니다. 모든 결석일수가 합쳐서 63일 이상이면 진급이 되지 않습니다. 다만, 지각, 조퇴, 결과는 결석일수에 포함되지 않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생기부 출결 상황의 중요성
취업을 준비하는 학생들에게 생기부(생활기록부) 출결 상황은 매우 중요합니다. 많은 직장에서 생기부를 요구하며, 출결 상황은 학생의 성실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가 됩니다. 따라서 결석, 지각, 조퇴 등이 많이 기록되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생기부의 출결 상황은 졸업식 날까지 모두 기록됩니다.
결석일수 계산 방법
- 지각, 조퇴, 결과는 3번이 모이면 하루 결석일수로 계산됩니다.
- 병결은 2번 당 결석 1회로 계산됩니다.
결론
고등학교 재학 기간은 나중에 돌이켜보면 소중한 시간입니다. 취업을 준비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학교 출결을 잘 관리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힘드시더라도 졸업할 때까지 학교 출석일수를 잘 채우시길 바랍니다.
이상으로 고등학교 출석일수와 졸업 조건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댓글로 여러분의 생각을 공유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댓글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