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스틱 종류 중에 약자로 PC, PETG, PE, PSP, PP가 뭔가요?

반응형

플라스틱 종류 중 약자로 PC, PETG, PE, PSP 및 PP의 전체 이름과 사용할 때 특징 좀 알려주세요. PC, PETG, PE, PSP, PP 플라스틱 종류 구분해서 쉽게 설명해 주세요.

플라스틱 종류 중에 약자로 PC, PETG, PE, PSP, PP가 뭔가요

플라스틱 종류 중에 약자로 PC, PETG, PE, PSP, PP가 뭔가요?

PC= Polycarbonate

내열성이 우수하고, 투명하고, 견고하며 충격에 강합니다. 가격 때문에 특수한 용도에 쓰입니다. 주로 대형 식수통에 쓰입니다.

PETG= Polyethylene Terephthalate Glycol

상품 진열장, 실내 투명 벽 등에 주로 적용됩니다. 이 경우 두꺼운 sheet를 성형할 수 있는 용융 강도, 물리적 강도, 절단 및 굴곡 강도 등 후가공성이 중요한 요구 특성입니다.

Plastic foam 재료는 지금까지 PS, PP, PVC, PU 등이 거의 독점해 왔으나, 특히 PS 및 PVC가 환경 호르몬 문제로 규제를 받음에 따라, polymer 내에 환경호르몬 유사 물질이 없으며 제조 공정이 위험하지 않고 소각에도 문제가 없는 polyester가 각광을 받고 있습니다.

Plastic을 foam으로 성형하려면 기체를 불어넣어 거품을 만들 때 용융 점도가 높아야 하며, 공정 도중 결정화가 일어나 경화되면 곤란하기 때문에 결정성 수지보다는 비정질 수지 쪽이 더 유리합니다. PETG는 이 조건을 만족한다. 하지만, 고온에 노출되는 컵라면이나 전자레인지용 용기 등 내열성이 필요한 용도에는 사용이 제한적입니다.

PE= polyethylene

두 가지 타입이 있습니다. Ldpe (저밀도 polyethylene) and HDPE (고밀도 polyethylene). 두 가지 모두 필름이나 병에 쓰입니다. HDPE가 좀 더 견고합니다. 폴리에틸렌은 냉동식품과 사용하기에 적당합니다.

PSP= Polystyrene Paper

  • 코팅원단 : 컵라면용기, 각종 일회용 용기
  • 인쇄라미 원단 : 컵라면용기, 각종 일회용 용기, 무늬보드
  • 보드용 원단 : 원단보드, 종이보드, 접착보드, 칼라프린터보드
  • 건축자재용 원단 : 문양거푸집, 단열재
  • 산업포장재용원단 : 산업제품의 포장 완충재
  • 컬러원단 : 각종 일회용 용기, 컬러시트보드
  • 트레이용 원단 : 각종 일회용 용기

PP= polypropylene

가장 쓰임이 많습니다. 압출, 블로우성형, 사출성형, 압축성향, 진공성형이 가능합니다. 섬유, 필름 또는 다양한 색상이나 투명한 폼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주로 용도는 포장지와 같은 필름 형태로 사용됩니다. 온도가 변수인 곳에서의 병에 사용됩니다. PE보다는 유연해지는 온도가 높습니다. 대부분의 플라스틱 박스는 폴리프로필렌입니다.

플라스틱이라고 하는 것은 고분자 물질을 쉽게 그렇게 말하는데요. 흔히 상업적으로 많이 쓰이는 범용 고분자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라고 강도나 내구성이나 내열성이 좋아서 공업적으로 많이 이용되는 고분자, 그리고 다음으로 분해성 물질로 나눌 수도 있습니다.

  • PET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음료수병 잘 아시죠? 그것이 대표적인 용도입니다.
  • PVC- 비닐이라고 하는 것 아시죠? 폴리비닐클로라이드를 쉽게 그렇게 부릅니다. 비닐봉지 이외에 대표적으로 파이프로 이용되죠.
  • PE - 합성섬유로 만든 옷에 폴리에스터 적혀있는 것 보셨나요? 그것입니다.
  • PP- 폴리프로필렌 과자 봉지에 많이 적혀있습니다. 섬유로도 이용되고요.
  • PS- 폴리스타이렌. 역시 섬유로 많이 응용되고요. 포장재나 하우징, 식기용기 등에 널리 이용되는 플라스틱입니다.

이러한 고분자에 다양한 물질을 섞어서 또 다른 특징을 갖게 하여 다양하게 응용됩니다.

  •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나일론 - 섬유로 흔하게 사용됩니다. 대표적으로 스타킹. 폴리아미드 계열로 자동차 부품, 전자제품의 부속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며, 내구성과 내열성이 우수하여 고온 환경에 적합합니다.
    PC - 폴리카보네이트. 컴퓨터의 디스켓이나 핸드폰 케이스 등으로 많이 이용되고요 아주 강도가 좋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PEEK- 폴리에테르 에테르 케톤, 항공우주용의 전기 절연재, 지하철의 전선피복 등 비싼 플라스틱인데요. 내열성 내화학성 난연성을 가지는 좋은 물질입니다.
    폴리 이미드 - 항공기와 전동차의 엔진, 모터 주변의 절연재, 광학 필름 등 약 50년 정도 전에 미국이 우주개발을 위한 대형 연구에서 탄생된 초 내열성 플라스틱입니다.

이외의 내열성 내구성을 지닌 많은 고분자 물질이 있는데요. 아무래도 플라스틱의 가장 장점은 경량이라는 데에 있겠죠.

  • 분해성 고분자:
    PLA. PGA - 폴리 락타이드와 글리콜라이드인데요 두 가지를 공중합(만들 때 두 개가 같이 조합되게 만드는 것)한 PLGA도 있습니다. 가수분해를 통해 탄소와 이산화탄소로 분해 흡수됩니다. 조성에 따라 분해기간도 2주에서 몇 달이 걸릴 수도 있고요. 병원에서 꿰맨 후 요즘은 실밥을 안 풀죠? 이것으로 만든 실을 이용하기 때문에 몸에서 정말 흡수됩니다. 의료용으로 많이 이용합니다.
    PHB - 썩는 쓰레기봉투 같은 것에 속하는데요 잘 썩는 대신 물성이 떨어집니다.
    PHBV - 미생물이 만드는 고분자인데요. 역시 생체에서 흡수가 됩니다. PHB보다 물성이 좋고 비싸고 의료용이나 생체재료로 이용됩니다.
    PCL - 역시 분해되어 흡수되는 물질입니다. 탄성을 가지고 있고요. 마찬가지로 의료용 재료, 고기능성 재료로 다양하게 응용되는 플라스틱입니다. 폴리카프로락톤이라고 불립니다.

이상으로 플라스틱 종류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
더 알아보기 👆
일상 생활에서 유용한 정보와 꿀팁, 자기계발 등의 주제를 다루며, 고용노동 관련 정보와 취업 팁, 직장 생활에 대한 조언도 제공합니다. 다양한 분야에서 유익한 내용을 제공하고자 노력합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를 눌러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