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사 실습하다가 찔렸는데 아직 혈액 검 받진 않았지만 궁금해서요 에이즈 바이러스가 체외에선 수명이 짧다고 들었는데 어느 정도인지 알려주세요. 혈액이 마른 주사 바늘에 찔려도 감염이 되나요? 예를 들어 간염, 매독, 에이즈...

혈액이 마른 주사 바늘에 찔려도 감염이 되나요? 예를 들어 간염, 매독, 에이즈
의료현장(병, 의원)에서 주삿바늘에 찔리는 일은 의료인에게는 아주 흔히 발생하는 일입니다.
또한 에이즈감염보균자가 마약을 주입할 때 하나의 주사기를 공동으로 사용한다면 주삿바늘에 남아있던 에이즈감염보균자나 에이즈환자의 혈액 속의 있던 에이즈바이러스(HIV) 균이 제삼자에게 에이즈를 감염시킬 수 있는 것으로 이는 성관계보다 더 위험하다 할 수 있습니다.
외국에서나 국내에서 아주 흔히 발생되고 있는데 다행히 병원에서 언니가 간호업무 중 환자게게 주사액을 주입하는 도중 환자의 주삿바늘에 혈액이 마른 상태에서 손가락에 찔렸다면 그것은 그나마 다행이라 할 수 있습니다. 물론 에이즈감염자가 아닌 경우에 한해서가 되겠지요.
그러나 에이즈감염자나 혈우병환자에게 주사액을 주입하던 중 그 혈액이 마르지 않은 상태에서 의료진의 손가락에 주삿바늘이 찔렸다면 이는 혈액제제를 통한 감염의 경로이므로 감염이 될 수는 있어도 혈액이 마른 상태에서는 이미 혈액이 응고가 되었다고 볼 수 있고 또한 에이즈바이러스균(HIV)은 산소에 노출된 상태에서는 더 이상 바이러스로서의 생존력이 없는 상태이기에 안심할 수는 있다는 것입니다.
그러기에 주사 바늘은 특히 조심스럽게 다루어야 한다는 말을 의료진에게서는 수시로 듣고는 있지만 사실 의료업무가 그리 한가한 것도 아니고 바쁘게 일을 하다 보면 이러한 사고(의료인의 부주의-간호사 포함)가 많이 발생을 하고 있지요.
또한 응급처치원이나 응급구조사 역시 교통사고나 기타 재난(재해) 사고현장에서 환자나 출혈부상자의 응급처치를 하다 보면 피를 만지게 되는데 이때는 반드시 일회용 의료용 고무장갑이나 음식조리용 일외용 고무장갑을 끼고 부상자의 혈액을 지혈시켜야 하며 피치 못할 사정이라면 비닐제품이라도 쓰고 그것도 여의치 못하여 혈액을 손으로 직접 만져야만 한다면 응급처치 후에는 반드시 흐르는 물에 비누거품을 많이 내서 손을 깨끗이 씻어내도록 하여야 하며 의복에 묻은 환자의 혈액은 반드시 세탁을 해야만 합니다.
주삿바늘이 마른 상태에서(이미 혈액이 응고가 된 상태) 손가락에 찔린 상황이라면 에이즈에 감염이 되지는 않습니다. 물론 에이즈감염보균자나 환자에게 주사액을 주입시킨 것도 아니기에 더욱더 감염의 위험은 없습니다.
댓글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