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광전효과의 예시에 영상증폭관이라는 게 나오는데 야간투시경에 사용된다고 하더군요 광자를 엄청나게 많이 늘려서 인(P)으로 만들어진 형광스크린에 부딪히게 하여 별빛정도로도 밤에 야외를 볼 수 있게 해 준다는데 어떻게 영상증폭관 안에서 광전자를 몇만 배 이상 만들어내는지 알려주세요.

야간투시경 원리
광전자 증배관을 통해 전자의 수를 늘리는 법을 사용합니다.
야시경의 경우 광자가 광음극에 닿으면 광음극에서 전자를 방출하게 됩니다. 문제는 그 전자의 수가 너무 적어서 검출하기 어렵기 때문에 광전자 증배관에서 이 전자를 증폭하게 되는데, 증배관은 아주 높은 진공 상태이고 안에는 다이노드라는 것이 배열되어 있습니다. 이 다이노드는 광음극과 양극 사이에 있는데요.
광음극에서 발생한 전자가 증배관에 걸려있는 전기장에 의해 가속되면서 다이노드와 충돌하게 되고 이 충돌 에너지로 인해 다이노드에서 더 많은 전자들이 튀어나오게 됩니다. 이러한 다이노드를 여러 번 충돌하면서 전자의 수가 늘어나게 되는 것이죠. 결국 양극 쪽에는 엄청나게 증가한 전자가 도달하게 됩니다. 이 전자들을 인에 반응시키면 다시 빛을 발생하게 되고 그 빛을 모아서 영상을 꾸미면 야시경을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입니다.
반응형
그리드형
댓글 개